https://m.blog.naver.com/wook2124/222709938695
(1회차)
1-1 CLI (Command Line Interface)
명령 문자열, 시스템 조작
1-2 GUI (Graphical User Interface)
그래픽 환경 기반 마우스나 전자펜
1-3 NUI (Natural User Interface)
사용자의 움직임 인식
1-4 OUI (Organic User Interface)
현실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이 입출력장치
2 Encapsulation (캡슐화)
구현부가 변화 되어도, 변화의 영향을 적게받기 위한 정보 은닉의 특성을 지님.
관련성 많은 데이터, 함수들을 하나의 묶음으로 처리.
3 형상관리
소프트웨어의 모든 항목의 변경 사항을 관리하기 위한 활동
4-1 RCS (Revision Control System)
수정 한사람만 가능, 동시 파일 수정 불가능
4-2 CVS (Concurrent Versions System)
클라이언트/서버 구조 다수의 인원 동시 접근 작업 가능 GPL로 배포
4-3 SVN (SubVersioN)
CVS개선, 오픈 소스, 무료사용 가능
4-4 Git
리누스 개발, 지역 저장소, 원격 저장소 존재
5 리팩토링(Refactoring)
결과의 변화 없이 코드의 구조 재조정 / 겉으로 보이는 동작의 변화 없이
restructing은 단순히 코드정리
6-1 XML
많은 종류 데이터 기술하는데 사용 / 다목적 마크업 언어 /
6-2 JSON
속성-값 / 키-값 으로 이루어짐. / 개방형 표준 포맷 / 인간이 읽을 수 있는 텍스트 사용 /
7 STACK (스택)
LIFO의 특징을 가지는 자료구조
8-1 원자성(Atomicity)
트랜잭션이 모두 반영되거나 모두 반영되지 않아야 하는 특성 all or nothing
8-2 일관성(Consistency)
트랜잭션 완료 후 데이터베이스 상태 유지
8-3 독립성(Isolation, 격리성)
트랜잭션 병행 실행시, 하나 실행 중일 때 다른 하나 끼어들 수 없음.
8-4 지속성(Durability, 영속성)
트랜잭션 반영은 영구적이어야 한다.
9 부분 완료(Partially Committed)
트랜잭션 수행이 완료되고나서 커밋되기 전의 상태
10-1 Degree(차수)
column의 개수 (열)
10-2 Cardinality(카디널리티)
tuple의 개수(행)
11 TCP Wrapper
접속 인가 여부 점검을 통하여 접속 허용, 거부가 결정되는 접근제어 유틸리티
12 Zing
NFC기술, 초고속 근접무선통신
13 Mesh Network
새로운 방식의 네트워크 기술 / 무선 랜 한계 극복 / 대규모 디바이스 네트워크 생성 최적화
14-1 휴먼 에러
인간의 실수로 발생하는 오류
14-2 좀비 PC
도스공격등에 이용되는 피씨 -> 악성코드 감염 후 다른 컴퓨터 조종 가능
14-3 C&C 서버
commend & control - 해커가 좀비pc에 명령을 내리고, 악성코드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서버
15-1 봇넷(Botnet)
악성코드 감염 -> 해커 맘대로 제어 가능한 좀비pc로 구성된 네트워크
15-2 웜(Worm)
자기 복제를 통해 시스템 부하 높힌 후 다운시켜버림 / 스스로 증식
16-1Ping of Death
허용범위 이상 패킷 전송으로 공격대상 네트워크 마비
16-2 Session Hijacking(세션 하이재킹)
이미 접속되어 세션 연결되어있는 상태를 가로챔
17-1 SQL Injection
공격자가 입력 창 url에 sql삽입 후 정보 접근 가능해진다.
db 데이터 조작 가능해짐
17-2 XSS
웹페이지 악의적인 스크립트 포함 / 사용자측에서 실행되게 유도
18 Piggyback Attack(피기백 공격)
정상적인 사용자 연결 사용, 불법적인 접근 권한
19-1 MAC (Mandatory Access Control, 강제적 접근통제)
조직 내 역할기반 자원 접근 허용
19-2 DAC (Discretionary Access Control, 임의적 접근통제 )
개인(IBP) 그룹(GBP)의 Identity 근거 접근제어
19-3 RBAC (Role Based Access Control, 역할 기반 접근통제)
주체의 권한에 근거 접근제한
20 SDN (Software defined networking)
네트워크 체계에서 안정성 속도 등을 sw로 제어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
(2회차)
1-1
1-2
1-3
1-4
2
3
4-1
4-2
4-3
4-4
5
6-1
6-2
7
8-1
8-2
8-3
8-4
9
10-1
10-2
11
12
13
14-1
14-2
14-3
15-1
15-2
16-1
16-2
17-1
17-2
18
19-1
19-2
19-3
20
'[ 공지사항 + 기타 ] > 자격증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수제비 족보 오답노트 - 21년 1, 2탄 (0) | 2022.05.05 |
---|---|
정처기 데일리 문제풀이 - 11과목, 9과목, 9과목 (34, 35, 36) (0) | 2022.05.04 |
정처기 데일리 문제풀이 - 3과목, 11과목, 9과목 (31, 32, 33) (0) | 2022.05.03 |
정처기 데일리 문제풀이 - 11과목, 1과목, 2과목 (28, 29, 30) (0) | 2022.05.02 |
정처기 데일리 문제풀이 - 8과목, 9과목, 10과목 (25, 26, 27) (0) | 2022.05.02 |